수면을 방해하는 주범, 잠들기 위해 손에서 놓아야 하는 것, 스마트폰
언제 해도 재미있는 스마트폰 사용이지만, 여러분은 언제 하는 게 가장 즐거우신가요?
저는 자기 전에 보는 게 제일 재밌더라고요. 공감하시나요?
저를 포함해서 많은 분들이 일찍 잠에 들지 못하거나 깊은 잠에 빠지지 못해 늘 피곤한 채로 지내고 계실 텐데요. 그 이유가 일 또는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나 체력 저하도 있겠지만 또 다른 원인이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면은 건강한 삶을 위해 필수로 챙겨야하는 몸의 기능 중 하나인데요. 멈출 수 없는 즐거움과, 끊임없이 새롭게 선보이는 놀라운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의 사용 증가로 수면의 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해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마트폰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우리 일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거리 두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수면의 중요성:
수면은 우리 몸과 마음에 꼭 필요한 휴식 시간입니다. 자는 동안 몸에서는 세포의 재생으로 면역체계를 회복시키고, 뇌는 기억력을 강화시키며, 하루 동안 지쳤던 마음과 정서를 안정시켜 줍니다.
수면이 부족하게 될 경우 주의력 감소, 기억력 저하, 스트레스 증가, 대인관계 문제 등 예측하기 어려운 많은 문제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
1. 블루 라이트의 영향
블루라이트가 신체 리듬과 수면 주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잠들기 전에 이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디지털 기기를 통한 블루라이트의 노출은 자연적인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억제해 수면을 방해하여 수면의 시작이 늦어지고, 수면의 깊이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2. 알림 및 소셜 미디어의 영향
자는 동안 전화나 메시지의 도착 알림이 자주 울리거나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새로운 소식들이 쉴 새 없이 전해질 경우, 뇌는 계속해서 활성화되어 수면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긴장감을 유발하여 잠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3. 수면 시간 강탈
멈출 수 없는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할 수면 시간이 강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잠이 부족하면 몸이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므로 다음 날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거리두기:
1. 스마트폰 사용 제한 시간 설정
수면 1시간 전부터는 스마트폰 사용을 최대한 제한하고, 형광등과 같은 밝은 빛 대신 상대적으로 차분한 색을 내는 간접 조명을 사용하여 마음을 안정시킵니다.
2. 알림 설정 조절
부득이하게 꼭 필요한 연락이나 업무가 있는 게 아니라면 수면 중에 알림이 울리지 않도록 수면 집중 모드를 설정하거나, 중요한 알림만 허용하는 방해금지 모드를 설정하여 수면 중에 깨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3. 소셜 미디어 타임 관리
특히 수면 전에는 소셜 미디어 사용보다 수면 유도를 위해 10분 이상 따뜻한 물로 샤워하기, 잔잔한 음악 듣기, 독서하기 등 긴장을 풀 수 있는 활동을 선택합니다.
스마트폰은 현대 사회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필수품이 되었지만, 그 사용에는 적절한 제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수면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수면 습관을 형성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지혜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가진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수면 패턴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습관의 변화를 통해 더 나은 양질의 수면을 기대해 볼 수 있을 테니까요.
어제 아침과는 다른 가벼운 아침을 만들어 봅시다!